본문바로가기

연구원 사람들

송영훈 통일강원연구원장

소속: 강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

최종학력: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H.D.POLITICAL SCIENCE

연구분야: 국제정치, 난민, 인도적 지원, 남북교류협력

이메일: younghoon.song@kangwon.ac.kr

주요경력

  • 2022–현재 :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장
  • 2020-2021 : 강원대학교 기획처장
  • 2019-2020 :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장
  • 2015-현재 : 강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
  • 2014-2015 : 통일연구원 부연구위원
  • 2011-2014 :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/HK연구교수
  • 2022-현재 : 한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
  • 2021-2022 : <국제정치논총> 총괄편집위원
  • 2018-현재 : <담론201> 편집위원장
  • 2020-2022 : 외교부 무상원조관계기관협의회 전문위원
  • 2022-현재 : 강원도 남북교류협력위원회 위원

 

주요연구업적

  • “동아시아 인권의 상대성과 보편성: 경험적 연구의 기초”, 『세계정치』 제21집, 2014.
  • “난민의 인권과 국가안보: 한국 난민법 개정의 쟁점을 중심으로”, 『담론201』 19권 3호, 2016.
  • “장기화된 난민위기와 국제개발협력”, 『담론201』 20권 3호, 2017.
  • “수의 정치: 난민인정률의 국제비교”, 『문화와정치』 5권 4호, 2018.
  • “제주 예멘 난민신청과 난민담론”, 『국제이해교육』 14권 2호, 2019.
  • “Living on the Border? Human Rights and Selection Process in the Forced Mig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”, 『Korea Journal』 vol. 62, no.1(Spring), 2022.

박원선 부원장

소속: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교수

최종학력: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박사

연구분야:
1. 당뇨병 치료제가 혈관 수축성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
2. 정신병 치료제가 혈관 이온채널에 미치는 영향
3. 통일의학을 대비한 북한 맞춤형 말라리아 백신 개발 연구

이메일: parkws@kangwon.ac.kr

주요경력

  • 2010~현재.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조교수, 부교수, 정교수
  • 2010~2013.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실험동물실장
  • 2014~2016.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학생생활지도위원장
  • 2016~2022. 대한생리학회 편집위원
  • 2016~2020. 의학전문대학원 연구부원장
  • 2020~2021. 기획처 정책기획부처장

임유진 지역사회연구센터장

소속: 강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

최종학력: 연세대학교 정치학과 정치학 박사

연구분야: 정치경제, 복지정책, 국제개발협력

이메일 : yoojinlim@kangwon.ac.kr

주요연구업적

  • “일상생활 갈등의 유형화와 실천적 대응”, 『한국지방행정학보』, 2017.
  • “다당제에서 합의형 입법정치를 위한 제도적 조건과 과제”, 『미래정치연구』, 2018.
  • “Historical Evolution of Welfare Mix in Colonial Korea”, 『African Asian Studies』, 2019.
  • “남부 유럽의 테크노 포퓰리스트 정당과 당내 민주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”, 『담론201』, 2020.
  • “북극해 연안 5개국의 원주민과 자결권”, 『EU연구』, 2021.
  • “대만의 정당정치와 위기대응의 정치경제”, 『담론201』, 2021.

이동기 평화연구센터장

소속: 강원대학교 평화학과 교수

최종학력: 독일 프리드리히 실러 예나대학교 Ph.D 역사학

연구분야: 서양현대사, 독일통일, 평화사, 민주시민교육

이메일: leedongki@kangwon.ac.kr

주요연구업적

  • “‘독일 모델’ 배우기의 너머”, 『역사학보』, 2017.
  • “‘민주인권기념관’ 건립 구상: 10개의 테제”, 『기억과전망』, 2018.
  • “1989년 동독의 민주주의혁명과 통일문제의 관계”, 『독일연구』, 2020.
  • 『현대사 몽타주: 발견과 전복의 역사』, 돌베개, 2018.
  • 『글로벌 냉전과 동아시아』, 서울대출판문화원, 2019. (공저)
  • 『비밀과 역설: 10개의 키워드로 읽는 독일통일과 평화』, 아카넷, 2020.
  • 『역사상의 제국들: 흥망과 성쇠 그리고 역사』, 네오, 2021. (공저)
  • “Franco-German Relations Seen from Abroad: Post-war Reconciliation in International Perspectives”, 『Springer』, 2021. (공저)

문상석 남북협력센터장

소속: 강원대학교 사회학과 교수

최종학력: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Ph.D 사회학

연구분야: 발전론, 트랜스 로컬리티, 사회적 자본, 인간안보

이메일 : ssmoon@kangwon.ac.kr

주요연구업적

  • “국가 다시 보기: 보편의 정의를 향한 국가의 역할”, 『사회이론』, 2018.
  • “시장과 국가에 배태된 저널리즘의 위기와 전망”, 『현상과인식』, 2020.
  • “박정희 잔재의 사회적 기원에 관한 연구”, 『사회사상과문화』, 2021.
  • “코로나-19와 외로운 한국인을 만드는 사회구조: 사적 네트워크 집단주의의 형성과 미래”, 『사회이론』, 2021.
  • 『박정희 동원체제의 잔재와 한국 현대 시민사회의 형성』, 책과공간, 2021.

박아름 전임연구원

최종학력 : 동국대학교 북한학 박사

연구분야: 북한 대외관계

이메일 : heeya803@naver.com

주요연구업적

  • “‘조-중 국경조약’ 분석: 북한에 주는 함의를 중심으로”, 『북한학연구』, 2011.
  • “공유자원 문제와 사회주의 모델의 교훈: 북한의 ‘담당림’사례”, 『북한학연구』, 2013.
  • “아웅산 사건의 발생과 영향: 1980년대 초 북한과 동북아 정세”, 『동북아연구』, 2014.
  • “1985년 ‘조-소 국경조약’ 분석”, 『동아연구』, 2017.
  • “1962년 북한의 ‘사회주의 국제분업’ 이탈 분석”, 『역사문제연구』, 2021.
  • “1980년대 냉전의 균열과 북한의 대응: ‘우리 식 사회주의’의 출현과 함의”, 『동북아연구』, 2021.

정수현 전임연구원

최종학력 : Ph.D. in Political Science, Florida State University

세부전공 : 환경정치, 정치행태, 지역정치

이메일 : soointo@gmail.com

주요연구업적

  • “기후변화체제에서의 EU의 에너지 안보 전략과 성과”, 『동서연구』, 2016.
  • “교토의정서와 국내정치적 요인이 EU 회원국들의 온실가스 배출에 미친 영향력 분석”, 『세계지역연구논총』, 2016.
  • “국회의원 공약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적 요인 분석”, 『미래정치연구』, 2017.
  • “후보자의 지역대표성이 득표율과 당선가능성에 미치는 영향력: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에 대한 분석”, 『한국정치연구』, 2017.
  • “북극해 연안 5개국의 원주민과 자결권”, 『EU연구』, 2021.

정원희 전임연구원

최종학력 : 고려대학교 정책학(북한학/통일정책 전공) 박사

연구분야: 북한정치, 상징정치, 선전선동, 담론

이메일 : whjung727@gmail.com

주요연구업적

  • "북한의 선전선동 연구: 구호 변화(1948-2021)를 중심으로" 박사학위논문, 2023.
  • 북한의 식량위기론: 1990년대와 2020년대 사례 비교분석" 『통일인문학』, 2022.
  • "북한의 상징정치: 김정은 시대 삼지연 중심으로" 『통일정책연구』, 2022.
  • "북한 사상이론가들을 통해 본 주체사상 발전: 1950년대 중반-1990년대 초반 『근로자』를 중심으로" 『평화학연구』, 2020.

정태의(Tay Jeong) 객원연구원

최종학력: McGill University, Ph.D. 사회학 (2023년 여름 예정)

연구분야: 평화학, 사회역학, 연구방법론, 지식사회학, 남북관계

이메일: jeongtay@gmail.com

주요연구업적

  • “Community-based legislative representation and postcolonial ethnic civil warfare in former British and French colonies”, Nations and Nationalism, forthcoming.
  • “Epistemic diversity and epistemic advantage: A comparison of two causal theories in feminist epistemology”, Hypatia, forthcoming.
  • “Cutting off the branch on which we are sitting? On postpositivism, value neutrality and the ‘bias paradox’”, Society. Online First. (공저)
  • “Contextual fallacy in MLMs with cross-level interaction: A critical review of neighborhood contextual effects on psychiatric resilience”, Social Science and Medicine 310, 2022.
  • “A tale of two empires: Models of political community in British and French colonies”, Nations and Nationalism 28(3), 2022. (공저)
  • “The colonial origins of ethnic warfare: Re-examining the impact of communalizing colonial policies in the British and French Empires,”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arative Sociology 62(2), 2021. (공저)
  • “Do more stress and lower family economic status increase vulnerability to suicidal ideation? Evidence of a U-shaped relationship in a large cross-sectional sample of South Korean adolescents”, PloS one 16(4). e0250794, 2021.
  • “Communalizing colonial policies and postcolonial ethnic warfare: A multimethod analysis of the British Empire,” European Journal of Sociology 62(3), 2021. (공저)
  • “미국은 북한 체제 보장을 약속했는가? 비핵화 협상 국면에서 한국 언론의 인용보도 왜곡 실태 분석”, 『경제와 사회』124, 2019.
  • “A conceptual appendix to ‘The politics of historical knowledge’”, Journal of Asian History 53(2), 2019.
  • “‘사이비사학’ 비판을 비판한다”, 『역사비평』124, 2018.
  • “The politics of historical knowledge: The debate on the historical geography of Old Chosŏn and Lelang Commandery,” Journal of Asian History 52(1), 2018.
  • “Korean Living Standard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: A Critical Review of the Longitudinal Trajectory of Stature,” Review of Korean Studies 20(2), 2017.

차승주 객원연구원

최종학력: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(교육학 박사)

연구분야: 북한교육, 통일교육, 평화교육

이메일: cha0121@hotmail.com

주요연구업적

  • “남북한 교과서에 나타난 ‘분단’”, 『한국민족문화』 제72집, 한국민족문화연구소, 2019.
  • “평화ㆍ통일교육의 핵심 내용으로서 ‘화해’에 대한 시론적 고찰”, 『평화학연구』 제20권 3호, 한국평화연구학회, 2019.
  • “북한의 시대별 교육담론”, 『통일인문학』 제79집,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, 2019.
  • “김정은 시대 북한의 도덕교육”, 『초등도덕교육』 제65집,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, 2019.
  • “남북한 도덕과의 애국심 교육 내용 비교”, 『글로벌교육연구』 제11권 3호, 글로벌교육연구학회, 2019.
  • “유럽연합(EU)의 대북 인도적 지원”, 『김정은 시대, 유럽연합과 북한』, 박영사, 2019. (공저)
  • “남북한 도덕교육의 교수-학습 방법 비교”, 『교육문화연구』 제25권 6호,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, 2019.
  • “'통일국민협약'이 통일교육에 주는 함의와 대안적 사회통일교육 방안 모색”, 『Oughtopia』 제34권 4호,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, 2020.
  • “평화로 가는 두 길: 위로부터의 평화와 아래로부터의 평화”, 『분쟁의 평화적 전환과 한반도: 비교평화연구의 이론과 실제』, 박영사, 2020. (공저)
  • 차승주·김훈일, “시・도교육청의 평화・통일교육 정책 평가: 서울 및 접경지역을 중심으로”, 『인문사회21』 제11권 5호,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, 2020. (공저)
  • 지방정부의 통일교육 법제 정비를 위한 일고찰”, 『통일교육연구』 17권 2호, 한국통일교육학회, 2020.
TOP